머리말
세상에서 가장 풍성한 만찬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취미 독서와 기획 독서
나는 책벌冊閥이다. 벌閥이란 본래 대문의 왼쪽 기둥을 일컫는 말이었지만, 족벌族閥, 파벌派閥, 학벌學閥, 재벌財閥 등의 단어에서 보듯이 주로 출신, 이해, 인연 따위로 함께 뭉치는 집단이나 세력을 뜻한다. 그래서인지 우리 사회에서 '벌'은 영 호감이 가지 않는 말로 전략해 버렸다. 학파學派는 전혀 어감이 나쁘지 않은데 학벌은 더러운 말이 되어버렸다. 이처럼 호의적이지 않은 분위기 속에서도 나는 스스로 책벌이라고 고백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책 읽기를 즐기며, 책 쓰기를 게을리하지 아니하고, 책 모으기에 열심인 사람이 비난받을 이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없을 것 같아 당당히 고백한다.
책벌이라는 소문이 나자 온갖 신분과 잡지에서 서평을 써달라는 요청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는 퍽 여러 해 동안 주요 일간지의 칼럼 코너인 <최재천의 책꽂이>, <최재천의 책 베개>등에 개인 서평을 정기적으로 기고해 왔다. 개인 칼럼에는 내 뜻대로 책을 선정하여 서평을 쓸 수 있는 권한이 함께 있었다. 그래서 서평을 쓰면서 평소 읽고 싶었던 책들을 맘껏 읽고 그에 대한 내 느낌을 말할 수 있어 좋았다. 15년 이상 여러 다양한 일간지에 글을 쓰고 살았지만, 서평을 쓸 때가 가장 행복했다. 문화부 기자들의 급작스러운 요청에 의해 그야말로 번갯불에 콩 볶듯 서평을 쓰는 일도 종종 있었다. 이런 때에는 대개 절대 시간이 부족하여 책을 충분히 곱씹지 못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하지만 좋은 점도 있었다. 독서 편식이 확실하게 줄어들었다. 때로는 도대체 왜 나한테 이런 책을 평하라는 것인지 황당할 때도 있었다. 그러나 덕분에 정말 다양한 책들을 읽을 수 있어 그 또한 좋았다.
책벌에그는 또한 추천의 글을 써달라는 호사가 따라온다. 아직 아무도 읽지 않은 글을 가장 먼저 읽는 특권과 쾌감은 쉽게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 내가 과연 추천해도 좋을 책인지 아닌지를 가늠하기 위해 읽는 독서처럼 날이 선 읽기도 별로 없을 것이다. 먼저 저자의 의도를 파악한 다음 과연 글이 그 의도를 충실히 반영했는가를 검토하고, 때로는 부족한 부분을 지적하는 만용도 서슴지 않는다. 그러고는 마치 내 자식이라도 태어나는 양 온 세상에 고한다. 서평에서는 종종 남의 자식이라고 헐뜯기도 하지만, 추천의 글은 대개 내 자식 감싸듯 포근해질 수밖에 없다. 그 포근함 때문일까, 나는 추천의 글을 참 많이도 썼다.
서평과 추천의 글을 쓰느라 행복한 책 읽기에 빠져 지내던 어느 날 나는 일본의 지성 다치바나 다카시의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를 만났다. 그리고 나도 언젠가는 그런 책을 한 권 쓰리라 다짐했다. 2011년 드디어 내게도 그런 기회가 찾아왔다. 기쁜 마음으로 '나도 이런 책을 읽어왔노라' 하는 책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서평과 추천의 글들을 엮으려 시작한 작업이 어쩌다 보니 살아온 이야기를 훨씬 많이 쏟아내는 주책스러움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그래서 나온 책이 바로 《과학자의 서재》이다. 그 책은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또는 공지영 작가의 《괜찮다, 다 괜찮다》같은 책처럼 읽힌다. 내 삶의 위기마다 나를 바로잡아준 몇몇 고마운 책들은 내 《과학자의 서재》에 꼽아둘 수 있었지만, 미처 진열하지 못한 다른 책들을 한데 모아 여기 《통섭의 식탁》을 마련했다.
독서를 취미로 한다는 사람들이 많아도. 물론 마음을 비우고 머리를 식히기 위해 하는 독서도 때론 필요하리라. 하지만 취미로 하는 독서가 진정 우리 삶에 어떤 발전을 가져다줄 수 있을까 생각해 보면 조금 공허해진다. 우리의 눈은 삼차원 입체를 보도록 진화한 기관이다. 그런데 누군지는 몰라도 최초로 책을 발명한 양반이 이차원 평면으로 디자인하는 바람에 거의 모든 사람의 눈이 다 망가지고 말았다. 눈 건강을 해치면서까지 취미 독서를 해야 하는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나는 독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잘 모르는 분야의 책을 붙들고 씨름하는 게 훨씬 가치 있는 독서라고 생각한다. 모르는 분야의 책을 붙들었는데 술술 읽힐 리는 없을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책 한 권을 뗐는데 도대체 뭘 읽었는지 기억에 남는 게 하나도 없다. 하지만 기왕에 읽기 시작한 그 분야의 책을 두 권, 세 권째 읽을 무렵이면 신기하게도 책장을 넘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이렇게 하다 보면 차츰 내 지식의 영역이 넓어지는 가슴 뿌듯함을 느끼게 된다.
미래학자들은 지금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평생 직업을 적어도 대여섯 차례 바꾸며 살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그렇다면 지금 중고등학생들은 직업을 일고여덟 번 바꾸게 될지도 모른다. 은퇴하고 놀고먹는 사람들의 수가 정작 일하는 사람의 수보다 많아지기 시작하면 어느 순간 정년 제대고 없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30세부터 일하기 시작하여 90세까지 적어도 60년을 일하며 살게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 긴 60년을 한 직장에서 버틸 수는 없기에 자연히 여러 직업을 전전하게 될 것이다. 물론 새로운 직장을 얻을 때마다 다시 대학에 돌아가 새로운 전공 공부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게 여의치 않다면 그다음으로 탁월한 선택은 단역 독서이다. 대학에서 전공 공부를 했다고 해서 그 분야의 세계적인 대가가 되어 취직하는 것은 아니다. 그저 조금 알고 취직한다. 그런 다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학 시절보다 더 열심히 공부하며 직장 생활을 한다. 새로운 분야에 일단 발을 들여놓는 것이 중요하다.
가령 이런 시나리오를 상상해 볼 수 있다. 대학에서 인문사회 계통을 공부하고 직장에 다니던 사람이 40대 초반에 쫓겨나 새로운 직장을 찾고 있다고 하자. 길에서 예전에 친하게 지내던 동창을 만났다.
"반갑다, 친구야. 요즘 어찌 지내냐?"
어, 난 다니던 회사 관두고 새 직장을 알아보고 있어. 너는 어찌 지내냐? "
"아, 나는 사업을 하나 시작해서 요즘 좀 정신이 없어."
"사업? 어떤 사업인데?"
"으응,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고 있는데..."
이쯤에서 당신이 만일 기껏해야 취미 독서만 한 사람이라면 당연히 나노기술에 대해 아는 게 없을 것이고 그러면 이렇게 말하고 헤어질 것이다.
"그래, 잘해라. 다음에 또 만나자."
그러나 당신이 기획 독서를 통해 나노과학에 관한 책을 두어 권 읽은 사람이라면 그 친구와 대화를 시작할 것이고 어쩌면 그 대화가 길게 이어지며 그 친구와 동업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 상황에서도 마찬가지로 당신이 나노과학계의 대가라서 새로운 직장을 얻은 것은 물론 아니다. 쥐뿔만큼만 알고 덤빈 것이다. 하지만 일이란 대개 그렇게 시작한다. 그렇게 들어간 새로운 직장에서 또 새로운 공부를 하면서 또 한 10년 사는 것이다. 따라서 고렴시대를 살아가는 데 기획 독서는 더할 수 없이 중요한 전략이다.
'도서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다만, 조금 느릴 뿐이다(강세형) (0) | 2023.02.15 |
---|---|
통섭의 식탁_왜 '통섭의 식탁'인가 (0) | 2023.02.09 |
사장이 전부다_쓰러질지언정 물러서지 않는다 (0) | 2023.02.07 |
당신은 전략가입니까(신시아 A. 몽고베리) (0) | 2023.02.06 |
미라클모닝, 당신의 하루를 바꾸는 기적 아침 6분이면 충분하다 (0) | 2023.02.05 |
댓글